죽비소리

輕薄

몽블랑* 2013. 10. 1. 18:44
 
輕薄(경박)/이덕무(1741~1793) 

輕躁者 自恃以爲聰敏 (경조자 자시이위총민) 遲鈍者 自恃以爲厚重 (지둔자 자시이위후중) 不知眞聰敏眞厚重 自有定格 (부지진총민진후중 자유정격)

경박하고 조급한 사람은 스스로 총명하고 민첩하다고 여겨 자부하고 느리고 둔한 사람은 중후하다고 여겨 든든해한다. 진짜로 총명하고 정말 민첩하며, 참으로 중후한 것은 일정한 격조가 있는 줄을 모른다 /이덕무의 士小節중에서

잠시도 가만있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쉴새없이 일을 벌인다. 눈은 언제나 사방을 두리번거리고 무슨 일에든 끼여들지 못해 안달을 한다. 남들보다 앞서가야하고 뒤지는 것을 못 견딘다. 그러면서 자신이야말로 똑똑하고 날랜 사람이라고 자부한다. 자신만 못한 사람은 깔보고 무시한다. 무슨 일이건 느려터진 사람도 있다. 조금만 정신차리면 늦지 않을 일도 느지렁거리다 그르치고 만다.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한다. 그러면서 자신은 잘못이 없고 요즘 사람들이 왜 이렇게 급한지 모르겠어한다. 경망과 총명은 다르다. 조급과 민첩은 다르다. 더딤과 두터움은 같지 않다. 둔함과 무거움도 같지 않다. 저 좋은 대로 생각하지 마라 착각하지 마라. /鄭珉의 죽비소리中에서

이덕무(李德懋)에 대하여 이덕무(李德懋)/1741(영조 17)∼1793(정조 17). 조선 후기의 실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무관(懋官), 호는 형암(炯庵)·아정(雅亭)·청장관(靑莊館)·영처(#영05處)·동방일사(東方一士). 정종의 별자(別子) 무림군 선생(茂林君先生)의 10세손이며 통덕랑 성호(聖浩)의 아들이다.

박학다식하고 고금의 기문이서(奇文異書)에 이르기까지 달통하였으며, 문장에 개성이 뚜렷하여 문명을 일세에 떨쳤으나, 서자였기 때문에 크게 등용되지 못하였다.

어릴 때 병약하고 빈한하여 거의 전통적 정규교육은 받을 수 없었다.

그러나 총명한 그는 가학(家學)으로써 6세에 이미 문리(文理)를 얻고, 약관에 박제가(朴齊家)·유득공(柳得恭)·이서구(李書九)와 함께 건연집 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쳤다.

특히 박지원(朴趾源)·홍대용(洪大容)·박제가·유득공·서이수(徐理修) 등의 북학파실학자들과 깊이 교유하여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경제면에 있어서의 급진적인 개혁이론보다는 사색적이고 철학적인 고증학적 방법론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리하여 고염무(顧炎武)·주이존(朱彛尊) 등 명말청초(明末淸初)의 고증학 대가들의 저서에 심취한 나머지 1778년(정조 2) 사은겸진주사(謝恩兼陳奏使) 심염조(沈念祖)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직접 연경(燕京)에 들어가 기균(紀均)·이조원(李調元)·이정원(李鼎元)·육비(陸飛)·엄성(嚴誠)·반정균(潘庭均)등 청나라 석학들과 교유하는 한편, 그곳의 산천·도리(道里)·궁실(宮室)·누대(樓臺)·초목·충어(蟲魚)·조수(鳥獸)에 이르기까지 자세한 기록을 가지고 돌아왔으며, 고증학에 관한 책들도 많이 가져왔다.

이것은 그의 북학론을 발전시키는 데 기초가 되었으며, 그의 명성은 정조에게까지 알려져 1779년 박제가·유득공·서이수와 함께 초대 규장각 외각검서관이 되었다. 14년간 규장각에 근무하면서 규장각신(奎章閣臣)을 비롯한 많은 국내학자들과 사귀는 한편, 그곳에 비장되어 있는 진귀한 서적들을 마음껏 읽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규장각의 도서편찬에도 적극 참여하여 《도서집성圖書集成》·《국조보감 國朝寶鑑》·《규장각지 奎章閣志》·《홍문관지 弘文館志》·《송사전 宋史筌》· 《검서청기 檢書廳記》·《대전회통 大典會通》·《기전고 箕田攷》·《규장전운 奎章全韻》·《시관소전 詩觀小傳》 등 많은 서적의 정리와 교감에 종사하였다. 항상 소매 속에 책과 필묵을 넣어 다니면서 보고 듣고 생각나는 것을 그때그때 적어두었다가 저술할 때 참고로 하였다.

내성적 성격이지만, 근면하고 특히 시문에 능하여 규장각 경시대회(競詩大會)에서 여러 번 장원함으로써 정조의 사랑과 신임을 받아 1781년에는 내각검서관으로 이배(移拜)되는가 하면, 사도시주부(司䆃寺主簿)·사근도찰방(沙斤道察訪)·광흥창주부(廣興倉主簿)·적성현감 등을 거쳐, 1791년에는 사옹원주부가 되었다.

비속한 청나라의 문체를 썼다 하여 박지원·박제가 등과 함께 문체반정(文體反正)에 걸려 정조에게 자송문(自訟文)을 지어 바치기까지 하였으나, 질병으로 1793년에 죽었다.

정조는 생시의 업적을 기념하여 장례비와 《아정유고 雅亭遺稿》의 간행비를 내어주고, 1795년 그의 아들 광규(光葵)를 검서관으로 임명하였다. 글씨도 잘 썼고 그림도 잘 그렸는데, 특히 지주(蜘蛛)와 영모(翎毛)를 잘 그렸다 한다.

저서로는 《관독일기 觀讀日記》·《이목구심서 耳目口心書》·《영처시고 #영05處詩稿》·《영처문고 #영05處文稿》· 《예기고 禮記考》·《편찬잡고 編纂雜稿》·《기년아람 紀年兒覽》·《사소절 士小節》·《청비록 淸脾錄》· 《뇌뢰낙락서 磊磊落落書》·《앙엽기 盎葉記》·《입연기 入燕記》·《한죽당수필 寒竹堂隨筆》· 《천애지기서 天涯知己書》·《열상방언 洌上方言》·《협주기 峽舟記》 등 16종이 있다. /엠파스 검색에서

'죽비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是非  (0) 2013.10.01
貪慾  (0) 2013.10.01
忍饑  (0) 2013.10.01
得宜  (0) 2013.10.01
登山  (0) 201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