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설신어

이명비한(耳鳴鼻鼾)

몽블랑* 2013. 10. 1. 20:08


귀에 물이 들어간 아이에게 이명(耳鳴) 현상이 생겼다. 귀에서 자꾸 피리 소리가 들린다. 아이는 신기해서 제 동무더러 귀를 맞대고 그 소리를 들어보라고 한다. 아무 소리도 안 들린다고 하자, 아이는 남이 알아주지 않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시골 주막에는 한 방에 여럿이 함께 자는 수가 많다. 한 사람이 코를 심하게 골아 다른 사람이 잘 수가 없었다. 견디다 못해 그를 흔들어 깨웠다. 그가 벌떡 일어나더니 내가 언제 코를 골았느냐며 불끈 성을 냈다.

연암 박지원이 '공작관문고자서(孔雀館文稿自序)'에서 들려준 이야기다. 귀울음(耳鳴)과 코골기(鼻鼾)가 항상 문제다. 이명은 저는 듣고 남은 못 듣는다. 코골기는 남은 듣지만 저는 못 듣는다. 분명히 있는데 한쪽은 모른다. 내게 있는 것을 남들이 알아주지 않거나, 남들은 다 아는데 저만 몰라 문제다.

연암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렇게 말한다. 이명은 병인데도 남이 안 알아준다고 난리고, 코골기는 병이 아닌데도 남이 먼저 안 것에 화를 낸다.

그러니 정말 좋은 것을 지녔는데 남이 안 알아주면 그 성냄이 어떠할까? 진짜 치명적 약점을 남이 지적하면 그 분노를 어찌 감당할까?

문제는 코와 귀에만 이런 병통이 있는 것이 아니다. 공부도 마찬가지다. 별것 아닌 제 것만 대단한 줄 안다. 이명증에 걸린 꼬마다. 남 잘한 것은 못 보고 제 잘못은 질끈 눈감는다. 언제 코를 골았느냐고 성내는 시골 사람이다.

연암은 이렇게 결론을 맺는다. "얻고 잃음은 내게 달려 있고, 기리고 헐뜯음은 남에게 달려 있다(得失在我, 毁譽在人). " 내가 성취가 있는데 남이 칭찬해주면 더할 나위 없지만, 사람들은 칭찬에 인색해서, 헐뜯고 비방하기 일쑤다. 내가 아무 잘한 것이 없는데 뜬금없이 붕 띄워 대단하다고 하면 그 자리가 참 불편하다. 그러니 변덕 심한 세상 사람들의 기리고 헐뜯음에는 일희일비(一喜一悲) 할 것이 못 된다. 나 자신에게 떳떳한지 돌아보는 일이 먼저다.

좋은 글을 쓰고, 본이 되는 삶을 살려면 어찌해야 하나? 제 이명에 현혹되지 않고, 내 코 고는 습관을 인정하면 된다. 남을 헐뜯고 비방하는 것은 일종의 못된 버릇이다. 비판과 비난을 구분 못하는 것은 딱한 습성이다. 내 득실이 있을 뿐, 남의 훼예(毁譽)에 휘둘리면 못쓴다. /정민의 世說新語중에서

산딸나무/대청호 둘레길에서(2011/06/05)

'세설신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칭삼한(只稱三閒)  (0) 2013.10.28
교자이의(敎子以義)  (0) 2013.10.01
임거사결(林居四訣)  (0) 2013.10.01
敎婦初來  (0) 2013.10.01
심한신왕(心閒神旺)  (0) 201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