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제주의 숨은 비경을 찾아 물, 돌, 바람이 만든 오름의 비경

몽블랑* 2011. 11. 30. 21:32

제주의 숨은 비경을 찾아 물, 돌, 바람이 만든 오름의 비경

최근 제주도는 올레길 투어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나는 쉽게 지나칠 수 있는 광경에 더 주목하고자 한다. 그것이 바로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오름’이다. 화산 활동의 결과로 생성된 오름은 그 자체로 제주를 가장 제주답게 하는 풍경이자, 아름다운 트레킹 코스다.

▲ 구름과 맞닿아 신비한 분위기를 연훌하는 용눈이오름

20년 전만 하더라도 제주도는 신혼여행지 혹은 럭셔리한 관광지였다. 그러나 요즘은 저가 항공도 활발하고 제주로 향하는 뱃길도 무궁무진하다. 나는 제주를 일 년에 수 없이 드나들지만, 색다른 여행의 참맛을 느끼기 위해서는 뱃길로 통하는 제주를 권한다.

뱃길로 제주도를 가는 것은 비행기를 타고 훌쩍 떠나는 것보다 다소 시간이 걸리기는 하지만, 제주까지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리다보면 비행기로 느낄 수 없는 또 다른 여행의 참맛을 느낄 수 있다. 서울에서 가깝게는 인천항과 평택항을 이용할 수 있고, KTX와 연계된 상품을 이용한다면 목포, 장흥, 완도 등에서 배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어디에서 배를 타든 뱃길을 통한 제주 여행은 주5 일제를 이용한 직장인을 위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관광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주’ 하면 떠오르는 관광 명소는 중문이지만, 근래에는 올레길 투어를 비롯한 제주의 숨은 명소를 찾는 이들이 늘고있다. 항공과 뱃길의 자유로움으로 인해 제주를 찾는 이들의 관광 종류가 다양함에 따라 중문 주위의 관광보다는 올레길 투어나 제주의 숨은 비경을 찾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나는 제주의 유명한 관광지보다는 숨은 비경과 쉽게 지나칠 수 있는 그러한 제주의 아름다움을 찾아보길 더 권하고 싶다. 제주 여행 상품에서 올레 투어보다는 오름 관광을 적극 추천하고 싶다. 거기에 더해 새벽 일출의 오름 투어 또한 꼭 한번 해보길 권한다.

▲ 삼다수 목장의 비갠 후 쌍무지개의 장관

그 중 대략 20~30분 정도로 부담 없이 오를 수 있는 오름이 100여 개 정도 된다. 특히 김영갑 선생이 살아생전에 제주에서 가장 아름답고, 사계절을 오롯이 느낄 수 있다고 예찬한 ‘용눈이오름’은 정상까지 대략 15~20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아 가벼운 마음으로 오를 수 있다.

▲ 1 공식명칭은 '삼다수 목장'이며 사계절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원래는 '와흘목장'이라고 불렸으며, 일출, 주경, 일몰 세가지를 함께 감상할 수 있는 제주의 아름다운 숨은 비경이다 2 근래 제주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마방목지 성판악을 가로지를 때 볼 수 있는 곳이며, 안개가 자주 끼는 곳이므로 안개 낀 날 찾는다면 더할 나위 없는 운치를 느낄 수 있다

특히 날씨가 좋은 날 일출 시간을 맞춘다면 최고의 제주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곳에서는 성산일출봉과 용눈이오름 주변의 수많은 크고 작은 오름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곳이다. 나 또한 용눈이오름의 일출을 보고자 20여 회 이상을 올랐을 정도로 용눈이오름의 아름다움은 그 풍경을 제대로 본 오름 꾼만이 누릴 수 있는 특혜가 아닐까 생각한다.

▲ 3 당산봉에서 본 제주 봄 들녁. 올레길 투어로도 유명하고 차량으로 정상까지 오를 수 있어 용눈이오름과 더불어 필자가 가장 좋아하는 오름 중 하나 4 삼다수 목장의 주경 5 당산봉 오름에서 본 제주 시가지 6 용눈이 오름에서 본 일출. 사진 촬영을 목적으로 한다면 일출과 더불어 역광 촬영의 진수를 맛볼수 있을 것이다

용눈이오름의 일출을 즐겼다면, 근처 교래리 주변으로 이동하여 천혜의 제주 경관을 감상해 보자. 교래리 주변은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라 이른 아침이면 몽환적인 풍광을 감상할 수 있다.

성판악 방향으로 이동하여 삼다수 목장, 제주 마방목지 등을 둘러보고 난 후, 삼다수 마을의 토종닭 특화지구에서 제주도의 참맛도 즐겨 보자. 제주 삼다수 마을의 대표적인 토종닭 전문 식당인 오름가든(064-784-6041)은 단연 맛으로 으뜸인 곳이다. 도착 1시간 전에 예약은 필수.

글·사진= 최기성 <타임캡쳐 (Timecapture.kr) 사진동호회 운영자>(2011.08.19자 조선일보 트래블)

*용눈이오름 :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산 28번지 산정부는 북동쪽의 정상봉을 중심으로 세 봉우리를 이루고, 그 안에 동서쪽으로 다소 트여있는 타원형의 분화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산체는 동사면쪽으로 얕게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룬다. 서사면 기슭에는 정상부가 주발모양으로 오목하게 패어 있는 아담한 기생화산과 원추형 기생화산인 알오름 2개가 딸려 있어, 용눈이오름은 여러종류의 화구로 이루어진 복합형 화산체라고 할 수 있다.

오름 기슭자락에는 따라비나 둔지봉, 서검은오름의 주변과 같이 용암암설류의 언덕이 산재해 있는데, 이는 용눈이 화산체가 형성된 뒤 용암류의 유출에 의해 산정의 화구륜 일부가 파괴되면서 용암류와 함께 흘러내린 토사가 이동, 퇴적된 것으로 알오름이나 언덕같은 형태를 이룬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미루어 이 오름의 용암은 비교적 가까운 시기에 분출된 용암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기생화산` 이라는 용어는 원론적으로 한라산 순상 화산체의 화산산록상에서 화산분화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소화산체이므로, 용눈이오름과 주변의 오름과 같이 한라산 중산간을 돌아가며 화산용암류의 산록상에서 분화구를 갖는 작은 화산을 의미한다.

오름의 전사면은 잔디와 함께 풀밭을 이루는 아름답고 전형적인 제주오름의 모습이며, 지피식물로서 미나리아재비, 할미꽃 등이 자생하고 있다. 마치 용이 누워있는 형체라는 데서 연유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한자로는 龍臥岳(용와악)으로 표기돼 있다. 산 복판이 크게 패어있는 것이 용이 누웠던 자리같다고 해서 용눈이오름이라 부른다는 설도 있다.

* 표고 247.8m / 비고 88m / 둘레 2,685m / 면적 404,264㎡ / 저경 773m * 공항 - 약38분(37.9㎞) 공항입구삼거리 - 종합경기장입구 - 광양사거리 - 거로사거리 - 번영로 - 선흘입구(직진) - 대천동사거리(좌회전) - 송당사거리(우회전) - 1136번지방도 - 손자봉(왼쪽 진입) - 용눈이오름 * 서귀포 - 약54분(53.9㎞) 서귀포시청 - 서홍동사무소(직진) - 토평사거리 - 5.16도로 - 서성로입구(우회전) - 1119번지방도 - 수망교차로 - 교래사거리(우회전) - 대천동사거리(직진) - 송당사거리(우회전) - 손자봉(왼쪽 진입) - 용눈이오름

관리자 정보 제주특별자치도 : TEL. 064-710-2114 관련 홈페이지 제주관광 http://cyber.jeju.go.kr 제주명소탐방 http://lohas.jejusi.go.kr 정보제공 정보제공 제주특별자치도청 064-710-2114

탐방지 주소 *용눈이오름 :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산 28번지 *당산봉오름 :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성판악휴게소 :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137-2 (Tel.064-722-0509) *삼다수목장 :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마방목지 : 제주시 용강동

유명 맛집 하르방밀면(톳밀면/톳비빔밥 6,000원, 064-794-5000) :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3858-6 황금륭(황금륭버거 4인용 17,000원, 2인용버거 11,000원, 064-773-0097) :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리 10 부두식당(방어회정식 15,000원, 방어코스요리 40,000원, 064-794-0097) : 서귀포시 대정읍 하모리 770-7 네거리식당(갈치국 9,000원, 갈치조림 25,000원, 064-762-5513) : 서귀포시 서귀동 310-40 삼보식당(전복뚝배기 12,000원, 064-762-3620) : 서귀포시 서귀동 319-8 마라도회집(방어회 25,000원, 064-746-2286) : 제주시 연동 262-10 산지물식당(어랭이물회 9,000원, 064-752-5599) : 제주시 건입동 1388-1 대우정(오분작돌솥밥 10,000원, 064-757-9662) : 제주시 삼도1동 569-27 명물식당(쥐치조림, 갈치조림 대 40,000원, 소 30,000원, 064-723-5233) : 제주시 삼도2동 1167-4 섭지해녀의집(전복죽 10,000원, 겡이죽 7,000원, 064-782-0672) : 제주시 성산읍 신양리 127-1 도라지식당(멜국 7,000원, 갈치조림 2인 32,000원, 064-722-3142) : 제주시 오라3동 2112 밀림원(흑돼지생고기 13,000원, 흑돼지오겹살 16,000원, 064-783-9803) :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산 56-1 오름가든(토종닭(꿩)백숙 35,000원, 064-784-6041) :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미니랜드-산굼부리방향 500m)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 고성) 삼포해수욕장  (0) 2012.07.28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암층  (0) 2011.12.09
(태안 안면도)노을길  (0) 2011.11.12
서산 조류생태전시관  (0) 2011.11.12
(무주)적상산 운해  (0) 2011.11.06